본문 바로가기
  • 꿈을 향해 나아가는 첫 걸음은 몸과 마음의 건강입니다

내 몸의 건강을 위한 정보8

동맥 경화가 염려되는 사람 동맥 경화가 염려되는 사람 동맥 경화로 인해 일어나는 병: 협심증 - 협심증은 심근의 허혈(혈류 부족)로 인해서 일어나는 병이다. 갑자기 가슴에 압박을 느껴 괴로워지는데 (협심 발작) 몇 분 안에 진정된다. 하지만 발작이 장시간 계속되면 심근 경색으로 이행하는 일도 있다. 심근 경색 - 심장의 근육에 혈액을 보내고 있는 관동맥의 동맥경화가 진행되어 좁아지거나 혈전으로 막힌 혈류가 단절되어 그 앞의 심장 근육에 산소와 영양이 운반되지 않기 때문에 세포가 괴사 하는 병이다. 사망할 수도 있다. 뇌졸중 - 뇌의 동맥경화로 인해 협착이 일어나거나 혈전이 막혀서 혈류 장애가 일어나는 병이 뇌경색이며, 혈액이 더 이상 흐르지 않게 된 세포는 괴사를 일으킨다. 뇌출혈은 고혈압으로 인해 뇌의 가는 동맥이 굳어 부서져 .. 2023. 3. 29.
변비 , 어떻게 해야 하나? 증상: 변이 장시간 장에 쌓여 있어 불쾌감을 느끼는 증상을 변비라고 한다. 흔히 며칠 동안 배변하지 못하면 변비라고 생각하는데 반드시 그렇지는 않으며, 일반적으로 2~3일 계속해서 배변이 없어 불쾌감을 느끼는 상태를 말한다. 하지만 2~3일 간격이지만 기분 좋게 변을 보면 변비라고 하지 않으며, 반대로 매일 변을 봐도 변이 남아 있는 느낌이 있거나 배가 땡땡하고 불편하면 변비라고 할 수 있다. 변비 증상 가운데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복부 증상이며, 그중에서도 복통, 압박감, 팽창감이 가장 크다. 복통은 좌우 옆구리와 배 전체에 답답함을 느낀다. 그로 인해 식욕이 부진하고 속이 거북해서 매운 음식을 찾게 되기도 한다. 또 변비에 걸린 사람은 방광염이나 신맹염에 걸릴 수 있으며 고혈압인 사람은 혈압이 올라.. 2023. 3. 18.
내장 지방의 10가지 위험 내장지방의 열 가지 위험 1. 내장지방은 고혈당, 당뇨병을 불러일으킨다. 생활습관병을 대표하는 당뇨병과 식사 후 혈당 수치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식후 고혈당, 둘 다 내장지방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병이다. 내장지방이 늘어나면 인슐린 작용이 약해진다. 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전신 세포에 혈중 당분(혈당)을 주입하며 혈당 수치를 낮춘다. 내장지방이 늘어나면 인슐린 작용이 약해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방 축적으로 커진 지방 세포에서 분비되는 생리 활성물질인 아디포사이토카인(adiplcytokine)의 일종인 TNF-α와 레지스틴(resistin)을 꼽을 수 있다. 이 두 물질은 인슐린의 작용을 방해하는 나쁜 아디포사이토카인이라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세포에 혈당을 주입하도록 촉진하.. 2023. 3. 8.
건강을 해치는 내장지방 내장지방이란 무엇인가? 지방은 세 종류가 있다. 1. 피하지방 문자 그대로 피하, 즉 피부 바로 밑에 쌓이는 지방이다. 체온을 유지하고, 에너지를 축적하는 등 외부 충격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쿠션 역할을 한다. 2. 내장지방 배 주변에 쌓이는 지방이다. 바로 이 내장지방으로 인해 배가 툭 튀어나온다. 그래서 허리둘레는 대사증후군을 진단하는 기준이 된다. 3. 이소성 지방 피하지방, 내장지방에 이어 ‘제3의 지방’이라 불린다. 피하지방이나 내장지방이 더 이상 쌓일 수 없을 만큼 축적되고 남은 지방이 본래는 쌓이기 힘든 부위에 축적된 것이다. 심장, 간 등의 장기, 장기 주변, 근육에 쌓인다. 이 세 가지를 합쳐 체지방이라고 한다. 살찐 사람은 모두 내장지방이 많을까? 비만은 체지방이 과하게 쌓인 상태를 .. 2023. 2. 21.